본문 바로가기
세계의역사

제10부: 1980년대 - 냉전 종식의 서막: 미국의 압박과 소련의 변화

by 다시쓰는세계사 2025. 3. 21.
반응형
SMALL
 
레이건
로널드 레이건의 어린 시절부터 대통령 시절까지 일대기를 다룬 영화
평점
-
감독
숀 맥나마라
출연
데니스 퀘이드, 페넬로페 앤 밀러, 존 보이트, 미나 수바리, 토미 레이건, 데이비드 헨리, 닉 서시, C. 토머스 하월, 케빈 딜런, 트레버 도노반, 레슬리 앤 다운

 

제10부: 냉전 종식의 전조 - 미국의 대소 압박과 소련의 변화 (1980년대)

1980년대는 냉전 시대의 종말을 향해 나아가던 결정적인 10년이었다. 미국로널드 레이건 행정부는 강력한 대소 정책을 펼치며 소련을 압박했고, 소련의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은 개혁과 개방을 통해 변화를 모색했다. 이 시기 미국자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자유와 민주주의 확산을 명분 삼아 소련의 약화를 전략적으로 추진했다.

1980년

  • 미국 대통령 선거: 로널드 레이건이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미국의 대외 정책에 큰 변화가 예고되었다. 레이건은 강력한 반공주의를 내세우며 소련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을 시사했다.

1981년

  • 레이건 행정부 출범: 로널드 레이건이 제40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그는 소련을 "악의 제국"으로 규정하며 군사력 증강과 강경한 대소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1982년

  • 미국의 군비 증강: 레이건 행정부는 국방 예산을 대폭 증액하며 B-1 폭격기, 트라이던트 잠수함 등 첨단 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이는 소련과의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고 소련 경제에 부담을 주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었다.

1983년

  • '악의 제국' 연설: 레이건 대통령은 전미 복음주의자 협회 연설에서 소련을 "악의 제국"이라고 맹비난하며 대소 강경 노선을 분명히 했다.
  • 전략 방위 구상 (SDI) 발표: 레이건 대통령은 우주 기반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는 SDI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소련에게 새로운 차원의 군비 경쟁을 강요하는 조치로 해석되었다.

1985년

  • 고르바초프 서기장 취임: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로 취임하면서 소련 사회에 개혁과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그는 **글라스노스트 (개방)**와 페레스트로이카 (개혁) 정책을 추진하며 소련 체제의 변화를 모색했다.

1986년

  • 체르노빌 원전 사고: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는 소련 체제의 폐쇄성과 비효율성을 드러냈다. 사고 후 소련 정부의 은폐 시도는 글라스노스트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켰다.

1987년

  • 중거리 핵전력 조약 (INF Treaty) 체결: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과 소련의 고르바초프 서기장은 워싱턴에서 INF 조약에 서명했다. 이는 양국이 처음으로 핵무기를 감축하기로 합의한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1988년

  • 동구권의 불안 고조: 소련의 개혁 정책 영향으로 폴란드, 헝가리, 동독 등 동구권 국가들에서 민주화 요구가 점차적으로 거세졌다.

1989년

  • 폴란드 자유 총선: 폴란드에서 자유 노조 연대의 주도로 자유 총선이 실시되어 비공산주의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는 동구권의 민주화 움직임에 중요한 신호탄이 되었다.
  • 헝가리 국경 개방: 헝가리가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을 개방하면서 동독 주민들의 탈출로가 마련되었다.
  • 동독 시위 격화 및 베를린 장벽 붕괴 직전: 동독에서는 라이프치히를 중심으로 대규모 시위가 연일 계속되었고, 정권의 위기가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동독 정부는 여행 자유화 조치를 발표했지만, 이는 오히려 시민들의 대규모 시위를 촉발시키며 베를린 장벽 붕괴라는 역사적인 사건으로 이어지게 된다.

제10부 마무리 (1980년대)

1980년대는 미국의 강력한 대소 압박과 소련의 내부적인 변화, 그리고 동구권의 민주화 열기가 융합되면서 냉전 종식의 결정적인 단계로 접어든 시기였다. 레이건 행정부의 강경 정책은 소련에게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켰고, 고르바초프의 개혁은 소련 체제의 근본적인 변화를 촉진했다. 1989년 동구권에서 일어난 일련의 사건들은 냉전 시대의 종말이 임박했음을 전 세계에 알렸다.

 

1980년대 한국에서는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에도 권위주의적인 군사 정권이 지속되었으나,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은 식지 않았다. 1987년 6월 민주 항쟁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를 쟁취하는 등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었다. 미국은 한국의 민주화 과정을 지지하면서도, 동아시아 지역의 안정이라는 전략적 목표를 고려하며 신중한 외교적 행보를 보였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