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3부: 세계 대전의 참전 - 미국의 고립주의에서 벗어나다

by 다시쓰는세계사 2025. 3. 21.
반응형
SMALL
 
1917
두 명의 병사, 하나의 미션! 그들이 싸워야 할 것은 적이 아니라 시간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이 한창인 1917년. 독일군에 의해 모든 통신망이 파괴된 상황 속에서 영국군 병사 '스코필드'(조지 맥케이)와 '블레이크'(딘-찰스 채프먼)에게 하나의 미션이 주어졌다. 함정에 빠진 영국군 부대의 수장 '매켄지' 중령(베네딕트 컴버배치)에게 '에린무어' 장군(콜린 퍼스)의 공격 중지 명령을 전하는 것! 둘은 1600명의 아군과 '블레이크'의 형(리차드 매든)을 구하기 위해 전쟁터 한복판을 가로지르며 사투를 이어가는데...
평점
7.6 (2020.02.19 개봉)
감독
샘 멘데스
출연
조지 맥케이, 딘 찰스 채프먼, 콜린 퍼스, 베네딕트 컴버배치, 마크 스트롱, 앤드류 스콧, 리처드 매든, 대니얼 메이스, 핍 카터, 앤디 아폴로, 폴 틴토, 조셉 데이비스, 리처드 맥케이브, 앤슨 분, 잭 샬루, 크리스 월리, 마이클 집슨, 저스틴 에드워즈, 존 홀링워스, 다니엘 애트웰, 마이클 라우스, 애드리언 스카보로, 조나 러셀

제3부: 세계 대전의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과 미국의 고립주의

20세기 초, 세계는 제국주의 열강들의 경쟁과 민족주의의 고조로 인해 전쟁의 기운이 감돌았다. 1914년 6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암살 사건(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유럽은 순식간에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된다.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이었다. 당시 미국은 먼로 독트린에 기반한 고립주의 외교 정책을 견지하며 유럽의 전쟁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하지만 전쟁이 장기화되고 미국의 이익이 침해받기 시작하면서, 미국은 결국 전쟁에 참전하게 되는 중대한 결정을 내리게 된다.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 배경과 미국의 중립 정책 

제1차 세계 대전은 복잡하게 얽힌 유럽 각국의 동맹 관계, 제국주의적 경쟁, 그리고 사라예보 사건과 같은 우발적인 사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발했다.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중심의 동맹국과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심의 연합국 간의 대립은 유럽 전역을 거대한 전쟁터로 만들었다.

  • 1914년:
    • 6월: 사라예보 사건 발생.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가 세르비아 민족주의자에게 암살당했다.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다.
    • 7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에 선전포고하면서 제1차 세계 대전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 8월: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8월 4일, 미국의 중립 정책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그는 미국 국민들에게 전쟁에 대한 감정적인 편향 없이 중립을 지킬 것을 촉구했다.
    • 1914년 ~ 1916년: 미국은 공식적으로 중립을 유지했지만, 연합국과의 경제적 교류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반면,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은 미국의 상선에 위협을 가하며 중립 정책에 대한 도전을 야기했다.
  • 1915년:
    • 5월: 독일 잠수함이 영국 여객선 루시타니아호를 격침시키면서 128명의 미국인을 포함한 1,198명이 사망했다. 이 사건은 미국 내에서 독일에 대한 강력한 비난 여론을 형성시켰다.
  • 1916년:
    • 윌슨 대통령은 "그는 우리를 전쟁에서 구해냈다 (He kept us out of war)"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재선에 성공했다. 이는 당시 미국 국민들의 고립주의 성향을 반영하는 결과였다.
  • 1917년:
    • 1월: 독일 외무장관 아르투어 치머만이 멕시코에 미국과 전쟁을 일으키도록 제안하는 내용의 치머만 전보가 영국에 의해 해독되어 미국에 공개되었다. 이는 미국의 안보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으로 인식되었다.
    • 2월 ~ 3월: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이 더욱 강화되면서 미국의 상선 피해가 증가했다.
    • 4월 6일: 미국 의회는 독일에 대한 선전포고를 결의하며 제1차 세계 대전에 공식적으로 참전했다.

미국의 참전 결정 요인과 전쟁의 주요 과정

미국이 중립 정책을 포기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결정적인 요인들이 작용했다.

  •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 독일은 전쟁 초반부터 영국에 대한 해상 봉쇄를 시도하며 잠수함을 활용했다. 1917년 2월, 독일은 영국으로 향하는 모든 선박을 국적과 종류를 불문하고 무차별적으로 격침시키는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재개했다. 이는 국제법을 명백히 위반하는 행위였으며, 중립국인 미국의 상선뿐만 아니라 여객선까지 공격 대상으로 삼아 미국 국민들의 생명과 재산에 심각한 위협을 가했다. 이러한 행위는 미국 내에서 독일에 대한 강력한 적대감을 불러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 루시타니아호 침몰 사건 (1915): 1915년 5월 7일, 독일 잠수함 U-20이 아일랜드 연안에서 영국 여객선 루시타니아호를 격침시켰다. 이 사건으로 1,19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그중에는 128명의 미국인이 포함되어 있었다. 루시타니아호는 무기를 운반하고 있었다는 논란이 있었지만, 민간인들이 무고하게 희생된 이 사건은 미국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는 미국의 중립 정책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여겨졌으며, 반독일 감정을 격화시키고 전쟁 참여 여론을 고조시키는 결정적인 사건 중 하나였다.
  • 치머만 전보 사건 (1917): 1917년 1월, 독일 외무장관 아르투어 치머만은 주미 멕시코 대사에게 비밀 전보를 보냈다. 전보 내용은 독일이 미국과 전쟁을 벌일 경우 멕시코가 독일에 협력하면, 독일의 승리 후 멕시코에게 텍사스, 뉴멕시코, 애리조나 등 과거 멕시코 영토였던 지역을 되찾도록 지원하겠다는 제안이었다. 이 전보는 영국 정보부에 의해 해독되어 1917년 3월 미국에 공개되었다. 이는 미국 국민들에게 독일의 적대적인 의도를 명백하게 보여주는 증거였으며, 미국의 주권과 안보를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행위로 간주되어 미국의 참전을 강력하게 촉구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 연합국과의 경제적 유대: 전쟁 발발 이후 미국은 공식적으로 중립을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영국과 프랑스를 비롯한 연합국에 막대한 양의 전쟁 물자를 수출하고 자금을 지원하는 등 경제적으로 깊이 연관되어 있었다. 미국의 은행들은 연합국에 거액의 전쟁 자금을 빌려주었으며, 미국의 산업은 연합국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산량을 늘렸다. 만약 연합국이 독일에 패배할 경우, 미국은 막대한 채권 회수 불능과 수출 시장 상실이라는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입을 수 있었다. 따라서 미국의 참전은 연합국의 승리를 보장하고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측면도 강하게 작용했다.

결국 1917년 4월 6일, 미국은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공식적으로 참전했다. 미국의 참전은 연합군에게 막대한 인력과 물자를 지원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전쟁의 판도를 바꾸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국은 존 J. 퍼싱 장군의 지휘 아래 *미국 원정군 (American Expeditionary Forces, AEF)*을 유럽 전선에 파병하여 서부 전선에서 독일군과 격렬한 전투를 벌였다. 특히 1918년에 벌어진 생민이엘 전투와 뫼즈-아르곤 공세에서 미국의 활약은 연합군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전후 처리와 베르사유 조약, 국제연맹 구상

전쟁이 연합국의 승리로 끝나자, 승전국들은 전후 처리를 위한 논의에 착수했다.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14개조 평화 원칙을 제시하며 민족 자결주의, 자유 무역, 그리고 국제 평화 기구 설립을 주장했다. 이러한 윌슨의 이상주의적인 구상은 베르사유 조약 협상 과정에서 유럽 열강들의 현실적인 이해관계와 충돌하면서 일부 수정되었다.

결국 1919년 6월 28일 체결된 베르사유 조약은 독일에 막대한 배상금을 부과하고 식민지를 할양하는 등 가혹한 조건을 담고 있었으며, 이는 훗날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윌슨 대통령의 주창으로 국제 평화 기구인 *국제연맹 (League of Nations)*이 창설되었지만, 미국 내에서는 유럽 문제에 대한 개입을 반대하는 고립주의 여론이 강하게 일었고, 결국 미국 의회의 반대로 미국은 국제연맹에 가입하지 않았다.

미국의 고립주의 정책 회귀와 그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사회에는 다시 고립주의 정책으로 회귀하려는 움직임이 강하게 나타났다.

  • 1919년:
    • 6월: 베르사유 조약이 체결되었지만, 미국 상원은 조약 비준을 거부했다. 이는 윌슨 대통령의 노력에 대한 명백한 거부이자, 미국 내 고립주의 세력의 힘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 윌슨 대통령은 국제연맹 가입을 위해 전국을 순회하며 연설했지만, 건강 악화로 인해 뜻을 이루지 못했다.
  • 1920년:
    •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의 워런 G. 하딩이 당선되었다. 그는 "정상으로의 복귀 (Return to Normalcy)"를 내세우며 고립주의적인 정책 방향을 시사했다.
    • 미국은 공식적으로 국제연맹에 가입하지 않았다.
  • 1920년대 ~ 1930년대:
    • 미국은 유럽의 정치 문제에서 거리를 두며 국내 문제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 1930년대에는 *중립법 (Neutrality Acts)*을 제정하여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시 미국의 개입을 최대한 억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의 경험과 고립주의 여론이 반영된 결과였다.

제3부 마무리

제1차 세계 대전은 미국이 국제 사회의 주요 행위자로 부상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지만, 동시에 전쟁의 상흔과 국내 여론의 변화로 인해 다시 고립주의 정책으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미국의 참전은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지만, 전후 처리 과정에서의 한계와 국내적인 반발은 향후 미국의 외교 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반응형
LIST